코인 수익률 계산기 활용 방법 — 초보부터 전문가까지
암호화폐(코인) 투자에서 ‘수익률’을 정확히 계산하는 능력은 매우 중요합니다. 단순한 퍼센트 계산을 넘어서 **수수료, 슬리피지(미끄러짐), 레버리지, 보유기간을 반영한 연환산 수익률(annualized return)**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실제 손익을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. 이 글은 코인 수익률 계산기의 기본 개념부터 실전 예제(매수·매도·수수료 반영), 연환산 수익률 계산, 스테이킹·농사(APY) 비교까지 단계별로 설명합니다. 아래 버튼을 눌러 실습용 계산기로 바로 이동해 계산을 해보세요.
수익률 계산기 바로가기👉
나에게 꼭 맞는 지원금 찾기👉
1) 수익률(ROI) 기본 개념 정리
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은 ROI(Return on Investment) — 투자 수익률입니다. 공식은 간단합니다:
ROI(%) = (판매금액 − 구매금액) ÷ 구매금액 × 100
예: 한 코인을 100달러에 사서 150달러에 팔았다면,
- 차익 = 150 − 100 = 50달러
- ROI = 50 ÷ 100 × 100 = 50%
이 단순 계산은 이해하기 쉽지만, 실제 거래에서는 수수료와 슬리피지 등을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. 이후 섹션에서 그 방법을 단계별로 보여드립니다.
2) 코인 수익률 계산기에서 반드시 입력해야 할 항목
정확한 계산을 위해 계산기에 다음 항목을 입력하세요:
- 매수가(Buy Price) — 코인 1단위당 구매 가격
- 매도가(Sell Price) — 코인 1단위당 판매 가격
- 수량(Quantity) — 거래한 코인 수량
- 수수료(Fee Rate) — 거래소 수수료(예: 0.1% → 0.001)
- 슬리피지(Slippage) — 체결 시 발생한 가격 미끄러짐(퍼센트 또는 절댓값)
- 보유기간(Holding Period) — 매수에서 매도까지의 일수(연환산 계산 시 필요)
이항목만 정확히 입력하면 계산기는 ‘총수익(절댓값)’, ‘정상화 ROI(%)’, ‘수수료·슬리피지 반영 후 순수익’을 산출합니다.
3) 실전 예제 1 — 기본 매수·매도 계산 (수수료 무시)
간단한 시나리오로 단계별 계산을 보여드립니다.
- 매수가 = 100 USDT
- 매도가 = 150 USDT
- 수량 = 2 코인
계산 단계:
- 총 매수금액 = 매수가 × 수량 = 100 × 2 = 200 USDT
- 총 매도금액 = 매도가 × 수량 = 150 × 2 = 300 USDT
- 총 차익 = 총 매도금액 − 총 매수금액 = 300 − 200 = 100 USDT
- ROI(%) = (총 차익 ÷ 총 매수금액) × 100 = (100 ÷ 200) × 100 = 50%
따라서 이 거래의 단순 ROI는 50%입니다.
4) 실전 예제 2 — 수수료와 슬리피지 반영
현실적인 계산에서는 다음을 반영해야 합니다.
- 거래소 수수료: 매수·매도 각각 0.1% (0.001)
- 슬리피지: 매수 시 −0.2%, 매도 시 −0.3% (체결이 불리한 쪽으로 발생)
- 위의 매수·매도·수량은 예제 1과 동일
계산 단계(숫자와 순서를 정확히 표기):
- 매수 단가 실제 체결가 = 매수가 × (1 + 슬리피지_buy) = 100 × (1 + 0.002) = 100 × 1.002 = 100.2 USDT
- 매수 수수료(절댓값) = 매수 단가 실제 체결가 × 수량 × fee_rate = 100.2 × 2 × 0.001 = 0.2004 USDT
- 총 매수지출 = (매수 단가 실제 체결가 × 수량) + 매수 수수료 = (100.2 × 2) + 0.2004 = 200.4 + 0.2004 = 200.6004 USDT
- 매도 단가 실제 체결가 = 매도가 × (1 − 슬리피지_sell) = 150 × (1 − 0.003) = 150 × 0.997 = 149.55 USDT
- 매도 수수료(절댓값) = 매도 단가 실제 체결가 × 수량 × fee_rate = 149.55 × 2 × 0.001 = 0.2991 USDT
- 총 매도수취 = (매도 단가 실제 체결가 × 수량) − 매도 수수료 = (149.55 × 2) − 0.2991 = 299.1 − 0.2991 = 298.8009 USDT
- 순수익 = 총 매도수취 − 총 매수지출 = 298.8009 − 200.6004 = 98.2005 USDT
- 순ROI(%) = (순수익 ÷ 총 매수지출) × 100 = (98.2005 ÷ 200.6004) × 100 ≈ 48.93%
결론: 수수료·슬리피지 반영 후 실제 수익률은 약 48.93%로, 단순 계산(50%)보다 떨어집니다. 작은 퍼센트 차이가 실제 돈으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예입니다.
5) 레버리지(마진) 거래에서 수익률 계산 주의점
레버리지를 사용하면 수익과 손실이 확대됩니다. 레버리지 L배일 때의 수익률은 단순 ROI에 L을 곱하면 되지만, 수수료·펀딩비·청산리스크를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. 공식(단순화):
레버리지 수익(%) = ROI(%) × L − 비용(펀딩비·추가수수료)
예: ROI 10%이고 레버리지 5배라면 이론적으로 50%지만, 펀딩비와 슬리피지로 인해 실제는 더 낮습니다. 또한 손실 시 청산으로 원금이 전부 소실될 수 있으므로 위험관리(손절가, 포지션 사이즈)가 필수입니다.
6) 보유기간을 반영한 연환산 수익률 계산(Annualized Return)
단기 거래의 수익률을 연간 기준으로 비교하려면 연환산 수익률을 사용합니다. 공식(복리 가정):
Annualized Return = (1 + ROI_decimal)^(365 / holding_days) − 1
예제(위의 실전 예제 1 기준):
- 순ROI = 50% → ROI_decimal = 0.5
- 보유기간 = 90일
계산 단계:
- (1 + ROI_decimal) = 1 + 0.5 = 1.5
- 지수 = 365 ÷ 90 ≈ 4.055555... (정확히 365/90)
- 연환산 팩터 = 1.5 ^ 4.055555... ≈ 5.177831150465132
- Annualized Return = 5.177831150465132 − 1 = 4.177831150465132 → 약 417.78%
해석: 90일 동안 50% 수익을 1년으로 환산하면 약 417.8%의 연수익률에 해당합니다. (복리 효과 반영)
7) 스테이킹·APY(연 이자율) 비교 시의 계산기 활용
스테이킹과 트레이딩 수익을 비교할 때는 APY(연 복리 수익률)를 기준으로 비교하면 편합니다. 예를 들어 스테이킹 APY가 12%라면, 매일 복리로 계산 시 실제 연 수익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.
APY(실제) = (1 + r/n)^(n) − 1, where r = 연 이자율, n = 복리 횟수(예: 일별 n=365)
예: r = 0.12, n = 365
- 1 + r/n = 1 + 0.12/365 ≈ 1.000328767
- APY = (1.000328767) ^ 365 − 1 ≈ 0.1275 → 12.75%
결론: 표기된 연이율보다 실제 APY가 약간 더 높을 수 있습니다(복리 효과).
8) 복수 거래(포트폴리오) 수익률 계산 방법
여러 거래(예: A코인, B코인 등)를 합산한 포트폴리오 수익률은 가중평균을 사용합니다. 공식:
Portfolio ROI = (Σ individual_profit) ÷ (Σ individual_investment) × 100
단계:
- 각 거래별 투자금(매수금액)과 순수익(수수료·슬리피지 반영 후)을 계산한다.
- 총 투자금 = Σ 투자금
- 총 순이익 = Σ 순수익
- 포트폴리오 ROI = 총 순이익 ÷ 총 투자금 × 100
예: 거래1 투자 1,000 USDT, 순이익 200 USDT; 거래2 투자 500 USDT, 순이익 50 USDT →
- 총 투자금 = 1,000 + 500 = 1,500 USDT
- 총 순이익 = 200 + 50 = 250 USDT
- 포트폴리오 ROI = 250 ÷ 1,500 × 100 = 16.67%
9) 세금·환차손·출금수수료 반영
실제 수익률 계산 시에는 추가 비용도 반영해야 합니다.
- 세금: 국가별로 과세 방식이 다름(양도소득세 등). 세율을 적용해 순수익에서 공제하세요.
- 환차손: 달러·원화 등 결제 통화 차익·손실을 반영.
- 출금수수료·네트워크 비용(Gas): 암호화폐 전송 비용을 정확히 반영.
계산기에서 ‘기타비용(세금/출금비)’ 항목을 필수로 추가하면 최종 손익이 더 정확해집니다.
10) 계산기 활용 팁 — 실전에서 바로 쓰는 체크리스트
- 항상 매수가·매도가에 수수료와 슬리피지를 반영하세요.
- 보유기간을 적어 두고 연환산 수익률을 계산해 다른 투자(예: 예금·스테이킹)과 비교하세요.
- 레버리지 거래는 청산 리스크를 고려해 손절가를 설정하세요.
- 출금 전 예상 네트워크 비용(Gas)을 미리 확인하세요.
- 수익률 계산 결과는 '시나리오'로 저장해 여러 가정(낮은·중간·높은 슬리피지)을 비교하세요.
11) 실전용 간단 수익률 계산기 예시 코드(개념)
웹 페이지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자바스크립트 계산기 구조(개념)를 소개합니다. (생성·사용 시 반드시 테스트하세요)
/* 개념 예시 */
function calcProfit(buy, sell, qty, feeRate, slipBuy, slipSell) {
const buyExec = buy * (1 + slipBuy);
const buyFee = buyExec * qty * feeRate;
const totalBuy = buyExec * qty + buyFee;
const sellExec = sell * (1 - slipSell);
const sellFee = sellExec * qty * feeRate;
const totalSell = sellExec * qty - sellFee;
const netProfit = totalSell - totalBuy;
const roi = netProfit / totalBuy * 100;
return { netProfit, roi };
}
이 코드는 계산기의 핵심 로직을 보여주며, 입력값 검증(음수값 방지 등)과 소수점 반올림 처리가 추가되어야 실전용으로 안전합니다.
12) 결론 — 계산기는 도구일 뿐, 리스크 관리가 정답
수익률 계산기는 투자 결정을 돕는 강력한 도구지만, 과신은 금물입니다. 정확한 숫자를 넣어도 시장 변동성·유동성·정책 리스크 등 예측 불가능한 요소가 존재합니다. 계산기는 다음을 돕습니다:
- 거래의 현실적 수익성 판단(수수료·슬리피지 반영)
- 단기 거래 대 장기 스테이킹 비교
- 레버리지 사용 시 손익과 청산 임계값 계산
항상 포지션 사이즈 관리(총자산의 몇 % 투입), 손절 수준 설정, 분산투자 원칙을 지키세요. 계산기는 수치적 근거를 주지만, 최종 결정은 리스크 허용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.
수익률 계산기 바로가기👉
나에게 꼭 맞는 지원금 찾기👉

